생활예술품을 만드는 라이프앤콜렉트는 국내외 작가들과 협업하여 작품을 재해석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입니다(https://lifeandcollect.com/) 라이프앤콜렉트는 특권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예술품을 생활 속에서 누구나 직접 사용하고 향유할 수 있는 홈 퍼니싱 상품으로 개발하여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예술의 진정한 가치를 알립니다. 더불어 작가와 소비자를 연결하여 상생하게 돕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핀어웨이큰은 문화 콘텐츠를 위한 굿즈를 전문적으로 기획하고 제작하는 디자인 스튜디오입니다(https://pinawakens.com/main) 연평균 30편의 뮤지컬 굿즈, 6건의 전시 굿즈를 제작하고 아트샵을 운영합니다. 핀어웨이큰은 미디어와 장르를 넘나들며 국립중앙박물관 ‘합스부르크 600년(2022-2023), 매혹의 걸작들’, ‘블랙핑크 코첼라 페스티벌&월드투어(2019) 등 글로벌 문화 콘텐츠와 및 브랜드를 위한 굿즈를 활발히 제작하고 있습니다.
서울디자인창업센터 입주기업들의 입주를 축하하기 위한 제작된 웰컴키트는 에코백, 뱃지 3종, 카드 케이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특히 뱃지 3종에는 창업센터의 시설과 특징이 담겨있는데요, 센터에 방문하시면, 귀여운 뱃지 속 센터 시설들을 직접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서울디자인창업센터와 센터 입주기업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굿즈의 시대다. 이제 마케팅에서 굿즈가 빠질 수 없는 항목으로 대중문화에서 유통업계까지, 그리고 업체 간 컬래버레이션으로 다채로운 굿즈가 탄생하고 있다. 영화, 도서, 식품, 게임, 패션, 금융 등 대다수 산업에서 굿즈를 활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일부 굿즈 가운데는 오픈런, 품절 대란 등을 유발하며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예쁘기만 한 굿즈는 가라. 실용성 있고 의미까지 담아내는 것이 바로 넥스트 굿즈다.
(중략)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아트숍에 입점한 핀어웨이큰의 합스부르크 특별전 굿즈.
MZ세대에게 하나의 문화이자 유흥으로 자리 잡은 미술&공연 관련 ‘소장각’ 굿즈를 선보이는 핀어웨이큰도 주목할 만한 브랜드다. 핀어웨이큰은 문화 콘텐츠의 장르와 미디어를 넘나들며 다양한 굿즈를 선보여온 디자인 스튜디오로, 특히 키링, 마그넷 등 금속 펜던트 상품에 전문성이 있다. 팀원이 모두 디자이너로 구성되어, 작품 원작을 단순히 인쇄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을 재해석하고 그에 어울리는 소재와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강점이다.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앙리마티스 특별전>을 비롯해 롯데뮤지엄의 <장미쉘바스키아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의 <합스부르크 특별전>까지 굵직굵직한 전시에서 상품의 기획과 운영을 맡아왔다. 뿐만 아니라 <영웅>, <데스노트>, <킹키부츠> 등 연평균 40편 이상의 뮤지컬 굿즈 제작을 소화하며 전문 기업으로의 입지를 공고히 다졌다. 굿즈를 활용한 후원금 모금 펀딩, 소규모 디자인 브랜드와의 협업, 중고 배지 리사이클 등 사회적 기여에도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바야흐로 굿즈의 시대다. 가방의 키링부터 티셔츠, 술잔, 포토카드, 캠핑 체어 등 일일이 거론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품목이 굿즈로 등장한다. 도서, 식품, 게임, 패션, 금융 등 대다수의 산업에서 굿즈를 활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일부 굿즈 가운데는 오픈런, 품절대란 등을 유발하며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그런데 다양한 굿즈가 쏟아져 나오는 상황이다 보니 오히려 ‘좋은 굿즈 찾기’가 더욱 요원해 지는 면이 있다. 혹시 예쁜 디자인, 유용한 기능, 특별한 의미 등을 두루 갖춰 소장하기에도, 선물하기에도 적합한 굿즈를 찾고 있다면 다음의 3가지 브랜드를 주목해 보자.
(중략)
▲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아트샵에 입점한 <핀어웨이큰>의 합스부르크 특별전 굿즈
▲ 시리즈로 이어지고 있는 유기견 후원 프로젝트 ‘우주개 라이카’
MZ에게 하나의 문화이자 유흥으로 자리잡은 미술&공연과 관련해 늘 ‘소장각’ 굿즈를 선보이는 <핀어웨이큰>도 주목할 만한 브랜드다. <핀어웨이큰>은 문화 콘텐츠의 장르와 미디어를 넘나들며 다양한 굿즈를 선보여온 디자인 스튜디오로, 특히 키링, 마그넷 등 금속 펜던트 상품에 전문성이 있다. 팀원이 모두 디자이너로 구성되어, 작품 원작을 단순히 인쇄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을 재해석하고 그에 어울리는 소재와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강점이다.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앙리마티스 특별전’을 비롯해 롯데뮤지엄의 ‘장미쉘바스키아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의 ‘합스부르크 특별전’까지 굵직굵직한 전시에서 상품의 기획과 운영을 맡아왔다. 뿐만 아니라 ‘영웅’ ‘데스노트’ ‘킹키부츠’ 등 연 평균 40편 이상의 뮤지컬 굿즈 제작을 소화하며 전문 기업으로의 입지를 공고히 다졌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그간 제작했던 굿즈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는데 하나같이 원작의 감동과 여운을 그대로 함축하고 있어 작품 못지 않게 눈길을 끈다. 앙리마티스 특유의 ‘식물’을 모티브로 제작한 키링이며 쿠션, 비틀즈의 ‘애비로드(Abbey Road)’를 그대로 옮긴 마그네틱, 유에민쥔의 심볼 ‘웃는 얼굴’이 새겨진 머그컵과 에코백 등 독특하면서도 세련된 아이템이 구매욕을 자극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핀앤모어’라는 온라인 쇼핑몰 및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를 운영해 기업 고객을 넘어 일반 고객과의 접점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이미 지난 4월부터 홍대에 팝업스토어를 열어 그 가능성을 확인한 만큼 앞으로 아름답고 퀄리티 높은 굿즈를 선보이겠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 굿즈를 활용한 후원금 모금 펀딩, 소규모 디자인 브랜드와의 협업, 중고 뱃지 리사이클 등 사회적 기여에도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핀어웨이큰의 다채로운 행보가 기대된다.
서울디자인창업센터 X 라이프앤콜렉트 X 핀어웨이큰 웰컴키트
서울디자인창업센터의 3기 입주기업 라이프앤콜렉트와 4기 입주기업 핀어웨이큰이 협력하여 서울디자인창업센터 웰컴키트를 제작하였습니다.
생활예술품을 만드는 라이프앤콜렉트는 국내외 작가들과 협업하여 작품을 재해석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입니다(https://lifeandcollect.com/)
라이프앤콜렉트는 특권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예술품을 생활 속에서 누구나 직접 사용하고 향유할 수 있는 홈 퍼니싱 상품으로 개발하여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예술의 진정한 가치를 알립니다. 더불어 작가와 소비자를 연결하여 상생하게 돕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핀어웨이큰은 문화 콘텐츠를 위한 굿즈를 전문적으로 기획하고 제작하는 디자인 스튜디오입니다(https://pinawakens.com/main) 연평균 30편의 뮤지컬 굿즈, 6건의 전시 굿즈를 제작하고 아트샵을 운영합니다. 핀어웨이큰은 미디어와 장르를 넘나들며 국립중앙박물관 ‘합스부르크 600년(2022-2023), 매혹의 걸작들’, ‘블랙핑크 코첼라 페스티벌&월드투어(2019) 등 글로벌 문화 콘텐츠와 및 브랜드를 위한 굿즈를 활발히 제작하고 있습니다.
서울디자인창업센터 입주기업들의 입주를 축하하기 위한 제작된 웰컴키트는 에코백, 뱃지 3종, 카드 케이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특히 뱃지 3종에는 창업센터의 시설과 특징이 담겨있는데요, 센터에 방문하시면, 귀여운 뱃지 속 센터 시설들을 직접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서울디자인창업센터와 센터 입주기업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더 뮤지컬 228호
원문 보러가기
굿즈의 시대다. 이제 마케팅에서 굿즈가 빠질 수 없는 항목으로 대중문화에서 유통업계까지, 그리고 업체 간 컬래버레이션으로 다채로운 굿즈가 탄생하고 있다. 영화, 도서, 식품, 게임, 패션, 금융 등 대다수 산업에서 굿즈를 활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일부 굿즈 가운데는 오픈런, 품절 대란 등을 유발하며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예쁘기만 한 굿즈는 가라. 실용성 있고 의미까지 담아내는 것이 바로 넥스트 굿즈다.
(중략)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아트숍에 입점한 핀어웨이큰의 합스부르크 특별전 굿즈.
MZ세대에게 하나의 문화이자 유흥으로 자리 잡은 미술&공연 관련 ‘소장각’ 굿즈를 선보이는 핀어웨이큰도 주목할 만한 브랜드다. 핀어웨이큰은 문화 콘텐츠의 장르와 미디어를 넘나들며 다양한 굿즈를 선보여온 디자인 스튜디오로, 특히 키링, 마그넷 등 금속 펜던트 상품에 전문성이 있다. 팀원이 모두 디자이너로 구성되어, 작품 원작을 단순히 인쇄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을 재해석하고 그에 어울리는 소재와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강점이다.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앙리마티스 특별전>을 비롯해 롯데뮤지엄의 <장미쉘바스키아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의 <합스부르크 특별전>까지 굵직굵직한 전시에서 상품의 기획과 운영을 맡아왔다. 뿐만 아니라 <영웅>, <데스노트>, <킹키부츠> 등 연평균 40편 이상의 뮤지컬 굿즈 제작을 소화하며 전문 기업으로의 입지를 공고히 다졌다. 굿즈를 활용한 후원금 모금 펀딩, 소규모 디자인 브랜드와의 협업, 중고 배지 리사이클 등 사회적 기여에도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원문 보러가기
바야흐로 굿즈의 시대다. 가방의 키링부터 티셔츠, 술잔, 포토카드, 캠핑 체어 등 일일이 거론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품목이 굿즈로 등장한다. 도서, 식품, 게임, 패션, 금융 등 대다수의 산업에서 굿즈를 활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일부 굿즈 가운데는 오픈런, 품절대란 등을 유발하며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그런데 다양한 굿즈가 쏟아져 나오는 상황이다 보니 오히려 ‘좋은 굿즈 찾기’가 더욱 요원해 지는 면이 있다. 혹시 예쁜 디자인, 유용한 기능, 특별한 의미 등을 두루 갖춰 소장하기에도, 선물하기에도 적합한 굿즈를 찾고 있다면 다음의 3가지 브랜드를 주목해 보자.
(중략)
MZ에게 하나의 문화이자 유흥으로 자리잡은 미술&공연과 관련해 늘 ‘소장각’ 굿즈를 선보이는 <핀어웨이큰>도 주목할 만한 브랜드다. <핀어웨이큰>은 문화 콘텐츠의 장르와 미디어를 넘나들며 다양한 굿즈를 선보여온 디자인 스튜디오로, 특히 키링, 마그넷 등 금속 펜던트 상품에 전문성이 있다. 팀원이 모두 디자이너로 구성되어, 작품 원작을 단순히 인쇄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을 재해석하고 그에 어울리는 소재와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강점이다.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앙리마티스 특별전’을 비롯해 롯데뮤지엄의 ‘장미쉘바스키아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의 ‘합스부르크 특별전’까지 굵직굵직한 전시에서 상품의 기획과 운영을 맡아왔다. 뿐만 아니라 ‘영웅’ ‘데스노트’ ‘킹키부츠’ 등 연 평균 40편 이상의 뮤지컬 굿즈 제작을 소화하며 전문 기업으로의 입지를 공고히 다졌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그간 제작했던 굿즈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는데 하나같이 원작의 감동과 여운을 그대로 함축하고 있어 작품 못지 않게 눈길을 끈다. 앙리마티스 특유의 ‘식물’을 모티브로 제작한 키링이며 쿠션, 비틀즈의 ‘애비로드(Abbey Road)’를 그대로 옮긴 마그네틱, 유에민쥔의 심볼 ‘웃는 얼굴’이 새겨진 머그컵과 에코백 등 독특하면서도 세련된 아이템이 구매욕을 자극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핀앤모어’라는 온라인 쇼핑몰 및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를 운영해 기업 고객을 넘어 일반 고객과의 접점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이미 지난 4월부터 홍대에 팝업스토어를 열어 그 가능성을 확인한 만큼 앞으로 아름답고 퀄리티 높은 굿즈를 선보이겠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 굿즈를 활용한 후원금 모금 펀딩, 소규모 디자인 브랜드와의 협업, 중고 뱃지 리사이클 등 사회적 기여에도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핀어웨이큰의 다채로운 행보가 기대된다.